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메리카 편지] 새로운 시작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는 서구 문학사의 걸작으로, 그 영향력은 단테의 『신곡』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뛰어난 서사시일 뿐만 아니라 정교한 정치적 선전물이기도 하다. 13년간의 피비린내 나는 내전을 끝내고 로마에 질서와 안정이라는 명분을 회복해야 했던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카이사르와 같은 운명을 피하고자 집필하게 한 이 작품은, 전설적 영웅 아이네이아스를 통해 황제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미화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기원전 29년에 의뢰해 10년에 걸려 완성됐다.   로마의 건국신화는 형제 살해와 사비니 여인들의 납치 등 불명예스러운 요소들로 가득 차 있었다. 베르길리우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필적하는, 영웅적이고 숭고한 건국신화를 로마에 부여했다. 그리스 서사 전통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자 아이네이아스를 차용해 로마 건국이라는 신의 명령을 수행하는 여정을 그린다.   그리스 전통에서는 아이네이아스가 어머니인 아프로디테에게 두 차례나 구출되는 다소 무능한 인물로 묘사되곤 했다. 트로이 함락 당시에도 노쇠한 아버지와 어린 아들을 데리고 간신히 탈출했다.   베르길리우스는 이러한 평범했던 인물에게 풍부한 배경을 부여해 로마 제국의 이상을 구현하는 창립자로 재탄생시켰다. 의무감, 경건함, 공동체에 대한 헌신이라는 로마적 가치를 상징하게 되었으며, 이는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이행하던 당시 로마 사회에서 아우구스투스가 강조하던 핵심 가치들이었다. 위대한 제국의 기틀을 다지는 아이네이아스의 운명에서 우리는 로마의 황금시대를 연 아우구스투스의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지금 대한민국에 필요한 것은 낡아빠진 서구의 좌우 이념의 잔재가 아닌 새로운 공동체 이념의 창조다. 한국은 다양한 이념을 수용해 보편적 가치로 탄생시키는 문화적 우월성을 과시해 왔다. 절망 속에서도 항상 희망을 본다.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시작 로마적 가치 아우구스투스 황제 로마 제국

2025-03-31

[열린광장] 2월은 깨끗하게 시작하는 달

2월을 일컫는 February의 의미는 깊다. 이 낱말의 본디 뜻은 ‘깨끗게 한다’란 뜻을 지닌 라틴어 ‘februare’에서 비롯되었다. 기원전 700년에 로마의 왕 폼필리우스가 그때까지 열 달밖에 없던 달력에 두 달을 더 붙여서 열두 달로 만들고 맨 끝 달의 이름을 ‘February’ 라 불렀다고 한다.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가다듬고 새해를 맞이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그런데 기원전 46년에 로마 황제 줄리어스 시저가 그때까지 첫 달이었던 March 앞에 January와 February를 붙이면서 맨 끝 달이었던 February가 둘째 달이 됐다.   줄리어스는 제 이름을 따서 만든 7월(Jury)을 31일로 만들려고 2월에서 하루를 떼어내어 7월을 31일로 만들었다. 그리고 나중에 아우구스투스 황제도 제 이름과 같은 8월(August)을 31일로 만들기 위해 2월에서 하루를 떼어왔기 때문에 2월은 28일로 줄어든 것이다. 이처럼 2월은 로마 황제들에게 업신여김을 받은 달이었다. 물론 2월은 아직 추운 겨울 날씨처럼 쌀쌀하다. 그런 탓인지 즐거운 운동 경기도 열리지 않는다.   그렇지만 하늘은 이달을 축복하였는지 이달에 태어난 뛰어난 인물들이 다른 달보다 훨씬 많다. 특별히 이달에 미국의 이름난 네 사람의 대통령이 태어났다. 초대 조지 워싱턴, 9대 윌리엄 해리슨, 16대 에이브러햄 링컨 그리고 40대 로널드 레이건이 그들이다.   특별히 우리들이 잊을 수 없는 사람들의 이름도 나열해보면 놀랄 만하다.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전기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 철학자 찰스 다윈, 소설가 찰스 디킨스, 성악가 테너 엔리코 카루소, 작가 빅토르 위고, 음악가 조지 핸델, 화가 그린 우드, 연극 배우 존 배리모어, 부흥사 드와이트 무디, 홈런 타자 베이브 루스 들이다. 이 달에 태어나진 않았지만 존 글렌 (나중에 상원의원)은 1962년 2월20일에 미국인 최초로 우주여행을 했다.   2월의 달 이름처럼 이 세상엔 깨끗하게 되어야 하는 것들이 너무도 많은 것 같다. 17 세기까지만 해도 영국은 영국 국교밖엔 종교활동을 허락지 않았다. 그래서 많은 영국 교인들은 종교의 자유를 부르짖으면서 그들 자신을 ‘청결한 교인’이란 뜻으로 ‘퓨리턴’ 이라 불렀다. 이 퓨리턴들 가운데서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국 땅으로 건너온 영국의 교인들이 바로 그 이름난 ‘필그림’들이다. 이들이 오늘의 미국의 터전을 닦았고 마침내 세계에서 가장 크고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었다.   무엇이든지 깨끗하게 시작하면 그 끝은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되는 법. 2월에 숨은 뜻이 주는 교훈이다.   2월에 숨은 재미있는 전설도 있다. 마멋(Ground-hog)이란 동물은 2월 2일에 제 그림자를 찾으려고 굴 속에서 나왔다가 햇빛이 비칠 때 제 그림자를 보게 되면 겨울이 아직 끝나지 않은 걸로 생각하고 다시 굴 속으로 들어가 동면을 취하다가 다시 나와서 제 그림자를 볼 수 없으면 비로소 봄이 온 걸로 알고 활동을 시작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날을 ‘그라운드-호그 데이’(Ground-hog Day)로 지키는 나라도 있다. 또한, 카톨릭 교회에선 2월 2일을 ‘성촉절(Candlemas Day)’로 지키기도 한다.     아무튼, 세상에서 업신여김을 받는 사람이나 사물이 그 속에 깨끗한 정신이나 특성이 스며 있으면 언젠가는 빛을 보게 될 날이 있다는 교훈을 2월을 통해서 찾아 보게 된다. 이는 마치 굴 속에서 뛰쳐 나와 새봄을 맞아 힘껏 기지개를 펴는 마멋과도 같지 않을까.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열린광장 시작 로마 황제들 아우구스투스 황제 음악가 조지

2025-02-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